본문 바로가기

IT5

내가 모르는 기초를 정리해보자 기초적인 부분에서 뭘 모르는지 자기 진단을 해봐야겠다 싶어서 써보는 글. 우선... 기본적으로 컴퓨터 공학에 전반적으로 지식이 없다. 대학교에서 거의 배운 것도 없고, 소멤 시절에 노력도 안했으니 다 내탓이지. 1. 네트워크 너는 HTTP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있냐고 물어본다면 할 말이 거의 없다. (너 이 시키 아는게 뭐야??) 그냥 대충 OSI 7 layer 있고 이런 거 아녀? 2. 운영체제 그냥 리눅스 커맨드 좀 칠 줄 알고 이까이거 그냥 애플리케이션만 잘 띄울 줄 알면 되는 거 아니냐. 3. 알고리즘 코테 풀다보면 많이 보게 되는 알고리즘. 어거지로 코테 덕분에 좀 알게되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개발할 때 알고리즘을 얼마나 생각해가며 작업하게되겠냐만은. 다 쓸 곳이 생기겠지. 4. 자료구조 대.. 2021. 9. 28.
블로그를 재시작해보면서 남겨보는, 나태했던 개발자의 글 대충 7년 동안 개발자로서 공부에 대해서 나태했던 것 같다. 나한테 7년이면 사실상 취업 이후 내내라고 봐도 무방하다. 굳이 공부에 국한되는 건 아니지만 이런 것도 다 부채가 된다. 업무하는 도중에 바닥은 금방 드러나고 그때 그때 쫓아가기 급하다. 그럼에도 공부를 안했다.(...) 평생 이렇게 살기도 좀 그렇고..그리고 회사에 대한 얘기...는 노코멘트. 어쨌든 공부를 시작했는데 그냥 무작정 요즘 유행하는 것들 읽어보고 정리하는 걸로는 공부가 잘 안되고있다는 걸 느꼈다. 왜일까.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란 놈은 근본 없이 운빨로 살아온 개발자라는 걸 다시 깨달았다. 제대로 나눗셈, 곱셈도 할 줄 모르는데 미적분 보고 있으면 되겠느냐 이말이다. 돈 더 벌고, 좋은 회사 가있고 이런 친구들 부러워 할 시간에 그.. 2021. 9. 28.
타이밍 어택 (보안) 우리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 같은 문자열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종종 toEquals를 쓰고는 한다. 이 메소드의 문제점이 무엇이냐면 "yotaiji" 라는 문자열과 똑같은지 비교를 한다고 하자. 그러면 처음엔 y, 그 다음엔 o, 그 다음엔 t... 이와 같은 순서로 첫번째 문자부터 하나씩 비교를 해간다. 만약 내가 "yaaaaaa" 라는 문자열을 넣었다면 두번째 문자를 비교할 때 다르다는 걸 알게 되고 컴퓨터는 return false를 할 것이다. 그 다음엔 "yoaaaaa" 를 넣어본다. 그러면 세번째 문자에서 false를 보여줄 것이다. 두번째에서 false 리턴인지, 세번째에서 false 리턴인지, 여기서 프로그래밍 수행 속도가 조금 차이가 난다고 한다. 물론 쉽게 측정은 안되지만 어느정도 시도를 하.. 2020. 3. 23.
Same 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 Origin : URL의 포트 ,호스트, 그리고 스킴으로 정의되는 것을 오리진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정보들은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출처로부터 가져와진다. 예를 들어 http://example.com/doc.html 에서 가져온 문서가 https://example.com/target.html 에서 가져온 문서의 DOM에 접속하려고 한다면 user agent는 이를 불허할텐데 그 이유는 첫번째 링크는 http, example.com, 80 이고 두번째 링크는 https, example.com, 443 이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API에서 동일 출처 정책은 정보 송수신을 구별해준다. 말하자면, 하나의 출처가 다른 출처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허용되어도 다른 출처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정.. 2020. 3. 19.
Request 헤더에 너무 많은 데이터를 넣었을 때 한 row 에 20개 정도의 데이터 또는 780개 가량의 row를 한번에 보낼 때 계속 에러가 나는 경우를 겪었다. 갑자기 null 값이 보내지면서 DB 테이블의 NOT NULL 을 위반했다던가 기존에 쓰던 함수가 갑자기 모든 parameter를 null로 보낸다던가 하는 에러가 뜨면서 대체 어디가 잘못되었던 것일까..하고 한참을 고생했다. 그리고 시니어 분의 도움으로 얻은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톰캣 설정에서 server.xml에서 connector 부분에 maxParameterCount 나 maxPostSize를 따로 세팅 안 해주면 너무 많은 값을 한 번의 요청에 넣으면 null값을 보낸다. 해당 관련 자세한 정보는 http://tomcat.apache.org/tomcat-6.0-doc/config.. 2020.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