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럼2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의사소통 전략 - 스크럼 (2) 가치 있는 제품을 만드는 전제 조건은 스크럼 팀이 자기조직화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에서는 "자기조직화 팀은 외부에서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작업의 최선책을 스스로 선택한다." 라고 정의한다. 보충 설명을 하자면 구성원 모두가 이상적인 팀이 되도록 능동적으로 학습과 성장을 계속해 나가는 상태가 스크럼의 자기조직화이다. 스크럼 팀의 역할은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1. 제품 책임자: 스크럼 팀이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최종 책임자 2. 개발팀: 제품 책임자가 결정한 요구 사항과 순서에 따라 최종 제품까지 구현하는 전문가 3. 스크럼 마스터: 제품 책임자와 개발팀이 실행하는 스크럼을 지원하고 스크럼이 조직에 도입되도록 지원하는 스크럼 추진자 스크럼 팀 내에서 맡은 역할과 조직 내에서 맡은 직책은 서로 다르다. 스크럼.. 2022. 12. 13.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의사소통 전략 - 스크럼 (1) 브록스가 말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어려움은 두 가지.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으로 나뉜다. 본질적 어려움 네 가지 1. 복잡성: 소프트웨어 개체는 인간이 만든 어떤 구조물보다도 복잡하다. 2. 호환성: 소프트웨어는 복잡한 현실 세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추어야 한다. 3. 변경 가능성: 소프트웨어 개체는 변경 요구에 끝없이 노출되어 있다. 4. 비가시성: 소프트웨어는 눈에 보이지 않으며 그 실체는 본질적으로 공간을 채울 수 없다. 1,2,3번 같은 본질적 어려움을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치명적이지 않도록 그때마다 대처를 반복하는 일은 가능하다. 4번은 더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 시각화가 되지 않으면서 의사소통으로부터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사소통의 창구는 너.. 2022. 12. 11. 이전 1 다음 반응형